화상수업 준비가이드 화상프로그램 설치  수동설치  화상캠/해드셋 자가테스트
전화문의
1666-0509
평일 : 오전 9시~오후 7시
주말, 공휴일 휴무
FAQ
  • Q. 로그인 중에 ActiveX 설치 시 오류 발생

    인터넷 익스플로어 세팅에서 “도구->인터넷옵션->보안-> 보안설정”에서 아래의 내용 중 하나라도‘사용 안 함’으로 되어 있는 경우 ‘사용’으로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SHLaunch 컨트롤은 서명이 되어 있고, 안전한 것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① 서명된 AcitveX 컨트롤 다운로드
       ② 안전한 것으로 표시된 ActiveX 컨트롤 스크립트
       ③ ActiveX 컨트롤 및 플러그 인 실행



    Windows에 권한 없는 로그인으로 인해 ActiveX 자체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반드시 관리자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Windows에 로그인해야합니다.
    (ex: 사용자계정은 ActiveX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가 보안경고 표시줄(익스플러어 상단의 노란색줄)을 Click 해서 설치하지 않은 경우 (클릭한 뒤 ActiveX를 설치하셔야 합니다.)

  • Q. 윈도우OS 8 에서 ActiveX 설치가 안되는 경우

    윈도우 OS 8 (Internet Explorer 10) 에서 ActiveX가 실행이 안되는 경우

    * 아래  1,2,3번의 해결 방법을 모두 설정해 주셔야 화상회의 프로그램 설치가 정상적으로 실행이됩니다.


    1. 인터넷 익스플로어 세팅에서 " 도구 ->인터넷옵션 ->고급탭 -> 향상된 보호 모드 사용 *   체크 해지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2. 레지스트리 변경


       ㄱ. 실행 (윈도우+r) -> regedit -> 확인
       ㄴ. HKEY_CURRENT_USER  -> Software ->Microsoft ->Internet Explore -> Main -> Tabprocgrowth (삭제)
       ㄷ.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Microsoft ->Internet Explore -> Main -> Tabprocgrowh (삭제)

      


    3. 인터넷 익스플로어를 새롭게 실행하여 서비스 주소 옆 호환성 보기를 파랗게 활성화 시킨 후 로그인하여 프로그램 설치 진행


  • Q. 윈도우7, 비스타 사용자 접속이 되지않은 경우

    윈도우7, 비스타 사용자 접속중 "설치중에러 103" 메세지가 뜰때는 UAC(사용자계정제어) 기능을 해제합니다.

    windows 7 사용자를 위한 UAC(사용자 계정 제어) 해제하기
    1. 시작-> 설정 -> 제어판 으로 들어갑니다.
    2. 사용자 계정을 클릭합니다.
    3.  맨하단의 '사용자 계정 컨트롤 사용/사용안함' 을 클릭합니다.
    4.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 창에서 슬라이드를 맨아래로 '열리지않음' 위치를 이동합니다.
    5. 확인을 누르고 창을 닫습니다.     일반적으로 보이는 UI만 다를뿐 비스타의 해제방법과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6. '지금 다시 시작'을 클릭 하십시요.
    7. 이제 UAC가 해제됨으로써 ;사용자 계정 제어' 창이 뜨지 않을것입니다.

    windows vista 사용자를 위한 UAC(사용자 계정 제어) 해제하기
    1. 시작-> 설정 -> 제어판 으로 들어갑니다.
    2. 사용자 계정을 클릭합니다.
    3.  맨하단의 '사용자 계정 컨트롤 사용/사용안함' 을 클릭합니다.
    4. '컴퓨터 보호하려면 UAC(사용자 계정 제어)를 사용하십시요' 의 체크를 해제 한 후 확인을 클릭하십시요.
    5. '지금 다시 시작' 을 클릭하십시요.
    6. 이제 UAC가 해제됨으로써 ;사용자 계정 제어' 창이 뜨지 않을것입니다.

  • Q. 로그인 중에 “사용중인 아이디.... 기존연결...?”라는 메세지 나올때

    누군가가 해당 아이디를 사용 중 입니다. “예” 클릭한 뒤,연결을 시도하면 기존 사용자는 자동으로 로그아웃 됩니다.

  • Q. 내가 말을 하고 난 뒤, 1~2초 후에 상대방에게 들릴때

    음성의 약간의 지연은 네트워크 전달과정에서 일어나는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네크워크 환경에 따라 지연 시간이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1~2초의 지연 발생은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 Q. 내 비디오 화면이 뿌옇게 보일때

    카메라를 보면 초점을 맞추는 부분이 있습니다.(보통 카메라 앵글을 돌리면 맞춰짐) 
    그 부분을 이용해서 초점을 맞춰 주십시오. 카메라마다 위치는 다를 수 있으며, 제조사에 따라 초점 조절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카메라도 있습니다.
    그리고 강의실 입실 후에 ‘기타’ 매뉴에서 ‘비디오조절’을 클릭하면 카메라 설정창이 보입니다.
    이 메뉴에서 밝기, 대조, 명암 등 본인의 비디오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실 수가 있습니다.

  • Q. 비디오가 나오지 않을때

    1. 장치관리자에 웹캠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어있는지 확인
      i. 내컴퓨터->마우스오른쪽버튼->속성 클릭
      ii. 하드웨어->장치관리자 클릭(비스타, 윈도우7 장치관리자 바로클릭)



    2. OS상에서 웹캠 영상이 나오는지 확인
    i. http://www.saeha.com/customer/data_view.do?saeha_idx=2 에서 amcap.exe 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 해서, Option->Preview 를 클릭한뒤 영상이 나오는지 확인
    ii. 위의 프로그램에서 장치가 없다거나, 영상이 나오지 않는다면 새하컴즈 솔루션에서도 영상이 나올수가 없음.
    iii.  카메라 혹은 OS, USB포트를 점검해야함.(제조사 혹은 PC A/S에 문의)

    3. 그래픽 카드의 드라이버 설치 유무 확인
    i. 장치관리자에서 확인 시 그래픽 카드에 노란색!로 되어있다면 해당 드라이버를 설치
    ii. 설치되어있지만 드라이버 업데이트가 2009년 이전일시 업데이트 실시

  • Q. 무선인터넷을 사용하여 화상회의에 참여 중 갑자기 회의실 종료될때

    무선 네트웍은 인터넷 연결유지가 보장되어있지 않습니다. 무선 신호가 약해지거나, 패킷전송 지연 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오니 되도록 유선 네트웍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Q. 녹화 관련 장애가 발생할 경우

    A.녹화가 되지 않는 경우
     i.녹화를 실시 하려면, 진행자(발표자)에 의해 녹화 권한을 부여 받아야 합니다.

    B.녹화된 자료의 재생이 되지 않는 경우
     i.새하컴즈 솔루션에서 별도 포멧으로 녹화한 경우
      1.녹화파일 확장자(mv, mv2, mv3, sc, sc2)에 따라 해당 버전에 맞는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이 설치되어있어야 합니다.
      2.여러가지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있는 경우, 해당 녹화파일을 녹화할 때, 사용된 버전에 맞는 플레이어를 띄워놓고 불러들여
        재생해야 합니다.

    C.녹화된 자료 재생 중 장애
     i.비디오가 나오지 않는 경우
      1.재생 플레이어(클라이언트) 버전에 맞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관리자에게 문의
    ii.영상과 음성이 끊기면서 들리는 경우
     1.녹화를 실시하는 PC의 사양이 권장 사양에 준하는지 점검이 필요합니다.
     2.WMV로 녹화하는 경우 CPU는 DUAL CORE 2.0, 메모리 2GB정도는 되어야 원활하게 녹화가 이루어 집니다.
    iii.WMV 방식으로 녹화된 자료에서 영상이 나오지 않거나 색상이 변경된 경우
     1.WMV 파일을 재생할 경우,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업데이트 하거나,
     2.곰플레이어등의 업데이트가 요구 됩니다.

  • Q. 카메라(웹캠)에 마이크가 내장 되어 하울링이 발생하는 경우

    화상카메라(웹캠)의 마이크와 내장된 사운드카드가 동시에 잡혀 있으면 하우링이나 잡음 등이 심해 질 수 있습니다.
    제어판-시스템-하드웨어-장치관리자에서 카메라에 내장된 마이크 드라이브를 그림과 같이 마우스 우클릭을 한 뒤, ‘사용안함’을 클릭하여 주십시오.



    카메라 마이크를 사용하면 주위의 소리까지 인입되므로 반드시 헤드셋 마이크를 사용하게하고 장치관리자에서 카메라 마이크는 사용안함 처리를 해야 합니다.

  • Q. USB 헤드셋사용하여 회의실에 입장 후에 음성이 나오지 않을때

    USB 사운드 카드와 USB 웹캠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USB 대역폭이 초과되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① USB 허브를 사용하고 있다면 사운드 카드와 웹캠을 PC의 다른 포트에 직접 연결하여 주십시오.
    ② 강의실 입실 후, ‘도구’ 메뉴의 ‘비디오 조절’ 항목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은 비디오 조절 창이 나타나면 ‘USB Bandwidth’ 의 ‘Auto Enable’을 체크 해제 하고 대역폭을 4이하로 낮춘 후에 ‘확인’을 클릭합니다. 강의실을 종료하고 다시 입실하면 음성이 정상적으로 작동됩니다.


  • Q. 강의중에 하우링현상(되울림 현상)이 심할때

    화상회의실 안의 상단 볼륨컨트롤의 마이크볼륨밸런스에 음소거가 체크되어 있는지, 또는 상대방이 헤드셋이 아닌 스피커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지 확인해 주십시오. 상대방이 스피커를 사용하는 경우, 자신의 목소리가 스피커에서 출력되어 마이크로 되돌아올 수 있습니다.
    제어판 → 사운드 및 오디오장치 ->볼륨컨트롤의 ‘녹음-마이크-고급’에서 마이크 부스터가 체크 되어 있다면 해제하여 주십시오.
    부스터 기능을 사용하면 음성은 커지지만 그만큼 하울링 및 에코 현상이 심할 수 있습니다.

  • Q. 상대방의 음성이 끊기거나 잡음이 심할때

    우선, 자신의 사운드카드 설정을 확인해 주십시오. 사운드카드 설정에 문제가 없다면, 사용중인 사운드카드 제조업체의 홈페이지에서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가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또는 상대방과 자신의 네트웍 상태나 컴퓨터의 CPU상태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것 일수도 있습니다.
    상대방의 컴퓨터의 마이크 단자의 전기적인 영향으로 잡음이 발생 할 수도 있음. 이럴시엔 컴퓨터 교체나 A/S서비스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상대방의 목소리가 일정 크기 이하로 작을시 프로그램상에서 전달이 안 되어 끊겨 들릴수도 있습니다.

  • Q. 상대방 음성도 않들리고, 내가 말을 해도 게이지가 안움직임

    예상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하는 컴퓨터에 사운드카드가 없거나 또는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입니다. 회의 시 오디오 기능(말하기 및 듣기)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운드카드가 반드시 필요 합니다.
    그리고 드라이버 설치 상태는 장치관리자에 있는 사운드, 비디오 및 게임 컨트롤러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부분에서 느낌표! 또는 X표시가 나타난다면 드라이버 삭제 후 재설치 해주십시오.



    ** 사운드카드의 단자와 헤드셋(마이크와 스피커)이 꽂혀있는 위치가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1. 제어판 →사운드 및 오디오장치 ->볼륨컨트롤의 재생부분과 녹음부분을 체크 해 주십시오. 재생의 경우, Wave항목에 음소거가 선택 되어져 있으면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없습니다. 녹음의 경우에는 마이크 항목의 볼륨이 너무 낮게 되어있으면 상대방에게 내 음성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이 두 가지 부분에 대해 확인 후 문제가 없을 시에는 사운드카드의 문제이오니 해당 제조업체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사운드 장치가 2개 이상일 경우 어떤 장치가 윈도우 기본장치로 선택 되느냐에 따라 솔루션에서 작동하는 장치가 달라집니다. 기본적으로 화상솔루션에서는 윈도우 기본장치를 인식합니다.

  • Q. 에코 발생 및 잡음이 발생할 경우

    1. 듣기에 찢어지는 듯한 소리가 날 경우
    i. 말하는 사람의 볼륨이 과도하게 크거나 마이크 부스터가 켜져있는 경우 발생합니다.
    ii. Windows XP의 경우는 증폭을 사용하는 경우이고,
    iii. VISTA 나 WIN7의 경우는 증폭 데시벨을 과도하게 높여서 발생 합니다.

    2. 에코가 발생하는 경우
    i. 흔히 되울림 이라고도 하고, 에코라고도 하는데 발생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i. 회의/강의 참석자 중 스피커를 사용하는 경우
        i.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가 마이크로 들어가게 되므로 상대방은 자신이 말한 내용을 다시 듣게 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ii. 스피커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하는 본인은 모르지만 참석자들이 피해를 보므로 반드시 자제 시켜야 합니다.
        (필요한경우 에코켄슬 전용 장비를 써야 합니다)
      ii. 사운드 카드에서 제공하는 스테레오 믹스 기능 활성화된 경우.
        i. XP의 경우 아래의 그림과 같이 체크 되어있으면 발생합니다.



    i. VISTA나 WIN7의 경우는 녹음장치 리스트에 스테레오믹스 활성화만 되어있어도 에코가 발생합니다.
    l 반드시 사용안함으로 해야 합니다.
    ii. 웹캠의 마이크가 장착되어 동작하는경우.
    장치관리자에서 소리부분에 USB장치(웹캠과 같은)인식을 확인 마우스 오른쪽 키를 사용하여 사용안함으로 해야 합니다.

  • Q. 화상회의 입장시 전반적으로 컴퓨터가 느려질 경우

    1.PC 사양 미달
    i. 화상 클라이언트에 접속 하기도 전에 CPU 점유율이 높다거나, 사용가능한 메모리가 부족하다면, 당사 제품을 사용하기 힘든 PC이므로 업그레이드가 요구 됩니다.
    ii. 화상 회의실/강의실에 입장 후, CPU 점유율이 100%에 다다랐고, 마우스를 움직여도 마우스 포인트가 따라오기 힘들정도의 PC사양이라면, 웹캠(카메라)를 제거하고 시스템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종료하기를 권장 합니다.

    2.오랫동안 정리하지 않은 PC
    i. 바이러스, 악성 코드, 오랫동안 정리되지 않은 익스플로러 탐색으로 채워진 템프(임시)폴더 등에 의해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느린 PC인 경우
    ii. 레지스트리/임시폴더 등을 정리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백신으로 정리하여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iii. 오랫동안 PC정리없이 사용하셨다면, Windows 재설치가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 Q. 오디오 끊김이 심할 경우

    1.네트워크 대역폭 부족에 의한 끊김
     i.당 솔루션에서는 우선순위 처리에 의해 네트워크가 부족한 상황일 때, 음성이 유지되도록 우선순위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ii.영상은 멈춰있고 음성은 끊기면서 들린다면 반드시 자신의 네트워크를 점검해야 합니다.
     iii.영상은 정상인데 음성이 끊긴다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iv.절대적인 최소한의 네트워크 대역폭은 약 40 Kbps 입니다.(음성에서 발생하는 대역폭)

    2.목소리가 작아서 마이크로 신호가 들어가지 않는 경우
     i.목소리가 작거나 마이크 특성상 소리가 작게 발생할 경우, 프로그램에 적용된 에코 켄슬 기능에 의해 잡음으로 인식하여 음성을 전달 안할 수 있으므로, 발언할 때 음성 그래프가 최소 1/3 이상이 유지되게끔 해줘야 합니다.
     ii.사운드 카드 특성상 볼륨을 높여도 여전히 작다면, 증폭(Boost)를 활성화 시켜 적절한 볼륨을 설정해야 합니다.

    3.자신이 사용하는 장비가 아닌 장비에서 마이크가 활성화된 경우
     i.본인은 헤드셋을 쓰고 헤드셋 마이크를 이용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ii.실제로는 카메라 마이크 혹은 노트북에 있는 오픈된 마이크 등의 타 장치가 활성화된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 Q. 비디오 끊김이 심할 경우

    1.사용하는 네트워크가 유선인지 확인하고, 무선의 경우는 신호 연속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2.비디오 신호를 받을 때, 처음부터 끊기는 영상을 송신할 경우
    i.PC사양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상대방 로컬상에서의 영상이 자연스러운지 파악)
    ii.상대방 랜카드 등 하드웨어적인 장애로 인해 화상서버로 영상 데이터를 원활하게 송신하지 못하는경우 수신자 측에서는 끊겨보일 수 있습니다.
    iii.자신의 PC에 연결된 네트워크가 연속성을 유지시켜 주지 못하거나, 해당 회의실/강의실에서 발생하는 대역폭에 초과되는 설정으로 화상을 유지할 경우 끊길 수 있습니다, 이는 프레임 및 화질을 조절하여 자신의 네트워크 상황에 맞는 품질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 합니다.
    iv.자신의 네트워크에 단절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http://speed.nia.or.kr 혹은 http://speed.qook.co.kr(회원가입 로그인) 등의 속도 측정 사이트에서 속도를 측정하고, 지연율이나 손실률 등을 점검해야 합니다.

    3.사용 하는 도중에 비디오가 끊기는 경우
    i.주로 저사양 PC나 무선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ii.노트북의 경우는 배터리를 이용할 경우 전원 부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iii.최초 사용시 무선 네트워크 송/수신률이 좋았으나, 어떠한 간섭에 의해서 무선의 신호가 약해질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iv.화상클라이언트 하나만 동작해도 CPU점유율이 7~80%인 상태에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 백신이 업데이트 된다거나, OS업데이트, 응용 어플리케이션 등이 업데이트 될 수 도 있으므로, PC사양이 권장사양이 되지 못한다면, 사전 점검으로 이를 예방해야 합니다.

    4.비디오 화질이 좋지 않은 경우
    i.자신이 사용하는 웹캠에서 고해상도의 화질을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 할 수 있습니다.